출산과 육아는 개인의 책임을 넘어 사회 전체가 함께 고민해야 할 문제다. 특히 일과 가정을 병행해야 하는 여성 근로자에게 제도적인 지원은 필수적이며, 이에 따라 정부는 다양한 모성보호제도를 마련해 시행하고 있다. 본 글에서는 대표적인 제도를 중심으로 그 내용과 신청 방법을 정리하였다.

모성보호제도란?
모성보호제도는 임신, 출산, 육아 등과 관련해 여성 근로자가 근로 과정에서 차별을 받지 않고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 법적 장치이다. 근로기준법, 남녀고용평등법, 고용보험법 등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, 일·가정 양립, 경력단절 예방, 여성 인력 보호라는 사회적 목적을 갖는다.
최근에는 남성 근로자도 육아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배우자 출산휴가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등의 제도도 확대되고 있다.
1. 출산 전후 휴가 제도
출산 전후에 사용할 수 있는 유급휴가 제도로, 근로자가 임신 및 출산 시기에 최소한의 회복과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보장하는 제도다.
지원 내용
- 기본 90일(다태아의 경우 120일) 부여되며, 이 중 최초 60일(다태아 75일)은 유급
- 우선지원 대상기업: 전체 기간에 대해 고용보험에서 급여 지급
- 대규모 기업: 최초 60일은 사업주 부담, 이후 기간은 고용보험에서 지급
- 급여 상한액: 월 210만 원
신청 방법
- 거주지 또는 사업장 소재지 관할 고용센터 신청
- 온라인(고용보험 홈페이지) 또는 모바일 신청 가능
- 휴가 종료 후 1년 이내 신청 필수
2. 배우자 출산휴가
출산 직후 배우자가 사용하는 유급휴가로, 가족 중심의 돌봄 문화 확산을 위해 마련된 제도다. 총 10일의 유급휴가가 제공된다.
지원 내용
- 우선지원 대상기업 근로자: 최초 5일에 대해 정부에서 급여 지급(상한액 401,910원)
- 나머지 5일은 사업주 부담
- 통상임금과 정부지원금 차액은 사업주가 부담
신청 방법
- 고용센터에 사업주 확인서와 급여신청서 제출
- 온라인 또는 우편·방문 접수 가능
- 휴가 종료 후 1년 이내 신청 필수
3. 육아휴직 제도
자녀 양육을 위해 일정 기간 업무를 중단할 수 있는 제도로, 부모 모두 신청이 가능하며, 근로자의 육아 부담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.
지원 내용
- 최대 1년 사용 가능
- 통상임금의 80% 지급 (월 70만 원~150만 원)
- 3+3 부모육아휴직제: 생후 12개월 이내 자녀에 대해 부모 각각의 첫 3개월 급여 100% 지급 (상한액 200만~300만 원)
- 지급액 중 25%는 복직 후 6개월 이상 재직 시 일시불 지급
신청 방법
- 관할 고용센터에 신청
- 온라인, 모바일, 방문, 우편 신청 가능
- 휴직 종료 후 1년 이내 신청 필수
4.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
자녀 양육을 위해 근로시간을 줄이는 제도로, 전일제 근로가 어려운 경우 유용하다. 근무 시간 단축은 최대 2년까지 가능하다.
지원 내용
- 주 5시간 단축분: 통상임금의 100% 지급 (상한액 200만 원)
- 나머지 단축 시간: 통상임금의 80% 지급 (상한액 150만 원)
- 하한액은 모두 월 50만 원
신청 방법
- 고용보험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신청 또는 고용센터 방문 신청
- 사업주 확인서 필수
- 단축 종료 후 1년 이내 신청 필수
5. 제도 이용 시 유의사항과 권리 보호
모성보호제도는 근로자의 정당한 권리이며, 이를 신청했다는 이유로 불이익을 받는 경우 근로기준법 및 남녀고용평등법에 따라 사업주에게 법적 책임이 부과된다.
부당한 처우를 경험했다면 고용노동부에서 운영하는 ‘모성보호 익명신고센터’를 통해 신고할 수 있다. 신원은 철저히 보호되며, 온라인 또는 관할 고용노동지청을 통해 신고 가능하다.
결론: 모성보호제도는 모두가 알아야 할 기본권
모성보호제도는 단순한 복지 차원을 넘어, 개인의 권리이자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지탱하는 핵심 제도다. 이를 정확히 이해하고 적극 활용한다면, 경력 단절 없이 일과 가정 모두를 지킬 수 있다.
정부의 정책이 더 많은 사람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, 근로자 개개인의 관심과 제도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.
모든 정보는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또는 고객상담센터(국번 없이 1350)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.
출처: 대한민국 정책브리핑